"야, 내년 최저임금 또 오른대!"
친구의 이 한마디에 귀가 번쩍 뜨이셨나요?
어쩌면 당신도 지금 최저임금이 오르면 내 월급이 얼마나 늘어나는지,
혹은 식당 밥값은 또 얼마나 오를지 걱정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래서 오늘은, 2026년 최저임금에 대한 모든 걸 쉽고 편하게, 마치 친구랑 수다 떨 듯 풀어드릴게요.
최저임금이 뭐길래? 이렇게 중요한가요?
최저임금이란 정부가 법으로 정한 ‘최소한 이 금액은 줘야 한다’는 임금이에요.
이게 없다면? 고용주는 비용 줄이려고 정말 말도 안 되게 낮은 시급을 제시할지도 몰라요.
그러니까 최저임금은 ‘노동자의 생존선’, 그리고 ‘기본권의 마지막 방어선’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만큼 민감하고, 뜨겁고, 중요한 문제죠.
2026년 최저임금 인상안, 발표되었나요?
네, 드디어 발표됐습니다!
2025년 7월 초에 최저임금위원회가 뜨거운 밤샘 협상 끝에 2026년 최저임금을 결정했죠.
인상률은 어느 정도일까?
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030원 → 10,320원으로 인상되었어요.
인상률은 약 2.9%.
"생각보다 많이 안 오른 거 아냐?" 라고 느끼실 수도 있는데요, 사실 이 수치는 물가 상승률, 경제 성장률, 중소기업 부담 등을 모두 고려한 ‘타협점’이랍니다.
역대 최저임금 추이와 비교해보면?
한눈에 보면 이런 느낌이에요:
- 2020년: 8,590원
- 2023년: 9,620원
- 2025년: 10,030원
- 2026년: 10,320원
매년 조금씩 오르고는 있지만, 체감상은 "생활이 더 나아졌나?" 싶죠?
이건 단순한 ‘수치’ 문제가 아니라 물가와 생활비와의 싸움이기도 하니까요.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인가요?
시급 10,320원을 기준으로 주 40시간 근무하면,
- 주급: 약 412,800원 (주휴수당 포함 시)
- 월급: 약 2,156,880원 (주휴수당 포함, 월 209시간 기준)
"어? 200만 원 넘네?"
네, 넘긴 하지만... 서울에서 원룸 하나 구하려면 여전히 빠듯하죠.
주휴수당 포함일까 아닐까?
이 질문 정말 많이 하세요!
최저임금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요.
하지만 실제로 월급 계산할 땐 주휴수당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헷갈리시는 거죠.
쉽게 말하면,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정해진 날짜에 빠지지 않으면,
하루치 시급을 보너스로 더 주는 게 주휴수당!
알바생, 신입, 경력직에게 주는 영향은?
최저임금은 알바생만의 얘기가 아니에요.
신입사원, 파견직, 계약직… 누구에게나 영향을 줘요.
알바생: 시급 1,000원 오르면 뭐가 달라질까?
햄버거 가게에서 하루 6시간, 주 5일 일한다면?
- 전년도: 약 1,505,000원
- 2026년: 약 1,548,000원
약 4만 원 차이!
이 돈이면 한 달 데이터 요금 + 편의점 간식 정도는 가능하겠죠?
자영업자는 버틸 수 있을까?
하지만 반대편엔 고용주가 있어요.
인건비 상승은 곧 가격 인상, 운영 부담, 심지어 폐업 고민으로 이어지죠.
"한 명 고용하면 월 215만 원 넘는다니… 혼자 하는 게 낫겠네"
이런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랍니다.
노동계와 경영계의 줄다리기
해마다 노동계와 경영계의 충돌은 뉴스 단골이죠.
노동계: "살 수는 있어야죠"
노동계 입장은 단순해요.
“월세도 오르고, 라면 값도 오르는데, 시급도 당연히 올라야죠.”
이 말, 정말 맞는 말이죠.
경영계: "감당 안 돼요"
경영계는 이렇게 말해요.
“중소기업은 숨 넘어갑니다. 버티기 힘들어요.”
맞는 말이에요.
그래서 늘 이 협상은 끝이 없는 평행선 같죠.
이대로 괜찮을까? 문제점도 있다
사실, 최저임금 제도 자체에 문제점도 있어요.
- 지역별 차이를 반영 못함
- 업종별 적용 구분 없음
- 일부 편법적 감액 시도도 여전
결국 제도는 있지만, 실제 삶은 제각각이라는 거예요.
우리 삶에 미치는 진짜 영향은?
시급 290원 인상, 과연 우리의 삶을 바꿀까요?
조금은 나아지겠죠.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임금 구조, 고용 안정성, 물가 대비 체감 수준에 있어요.
최저임금은 시작일 뿐.
우리가 바라는 건 '버틸 수 있는 삶'이 아니라 '살 수 있는 삶' 아닐까요?
자주 묻는 질문(FAQ)
Q1. 2026년 최저임금은 정확히 얼마인가요?
A. 시급 10,320원입니다.
Q2. 주휴수당 포함 금액인가요?
A. 아닙니다. 별도이며 조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어요.
Q3. 월급으로 계산하면 얼마인가요?
A. 약 2,156,880원입니다(주 40시간 기준, 주휴수당 포함 시).
Q4. 시급 계산할 때 팁은 있나요?
A. 월 근무시간 209시간 기준으로 곱하면 돼요.
예: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Q5. 자영업자도 최저임금 따라야 하나요?
A. 네, 고용한 직원이 있다면 의무적으로 적용됩니다.
혹시 지금도 시급 계산기 돌리고 계신가요?
그 마음 너무 잘 알아요.
그래서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괜찮은 하루가 되셨으면 좋겠어요 😊